3월 3주차 회고 및 다음 계획 작성.
1. 워밍업 강의 진도표 (~3/30)
FE (~ 3/28)
테마를 선택하고 리엑트 프로젝트 생성하기 (3개)
BE (~3/30)
Day 15 Spring & JPA 기반 테스트: Presentation Layer (과제必)
- [테스트] Section 6. Presentation Layer (2)
Day 16 Mock을 마주하는 자세
- [테스트] Section 7
Day 17 더 나은 테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구체적 조언 (과제必)
- [테스트] Section 8
Day 18 학습 테스트 | REST Docs
- [테스 트] Section 9-10
Day 19 중간 점검
- 온라인 세션
DE (~3/30)
Day 15 (과제必)
- B2B 이커머스 어드민 페이지 만들기
Day 16 (과제必)
- B2C 이러닝 페이지 만들기
Day 17 (과제必)
- 모바일 OTT 서비스 페이지 만들기
Day 18
- 타이포그래피 베리어블 등록하기
Day 19
- Q&A 온라인 세션 진행
Full-Stack (~3/30)
Day 11 인스타그램 클론 - 프로젝트 준비
- Section 6 (강의 소개, Git 설정)
Day 12 인스타그램 클론 - 로그인 & 회원가입 구현
- Section 6 (인증 구현)
Day 13 인스타그램 클론 - 채팅 기능 구현
- Section 7 (채팅 UI, Realtime 채팅)
Day 14 인스타그램 클론 - RLS 적용
- Section 7 (RLS 심화 강의)
Day 15 웹사이트 배포하기 - Vercel 배포, AWS EC2 배포, 도메인 등록
- Section 8 (도메인 등록, Vercel, AWS 배포)
2. 테스트에 대한 생각
1. 테스트
웹 개발은 클라이언트 요청에 맞는 데이터를 반환하는 기능을 제작하는 것입니다. 개발은 주로 협업 환경에서 이루어 지기 때문에 자신이 맡은 기능에 문제가 없는지 검수 해야 하고 그 과정을 시각 자료가 아닌 코드를 통해 논리적으로 검증받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프론트엔드
페이지가 최종적으로 출력되기 위해 수많은 컴포넌트를 제작하게 됩니다. 이 컴포넌트 중에는 이벤트를 담당하는 곳, 로직을 계산하는 곳, 데이터를 반환하는 곳이 있을 것이고, 속성값에 대한 테스트 비용을 줄이기 위해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하게 됩니다. 테스트 과정 축소를 통해 개발자는 화면 출력에 사용되는 기능 테스트에 집중할 수 있게 됩니다.
백엔드
데이터의 입출력을 목적으로 진행됩니다. 사용자 요청을 받고 데이터를 반환할 때 계산이 정확한 지, 제대로 된 데이터를 반환하고 있는 지 생각해야 하고, 프론트엔드와 마찬가지로 단위테스트를 진행 후 통합테스트를 진행하는 방향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아직 익숙하지 않지만 전반적인 흐름은 이런 느낌입니다.
2. 테스트를 진행하는 이유
소규모 개발 환경(팀 프로젝트, 개인 개발 등)을 경험하다 보면 실제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지 않고 기능 동작 확인 후 보고하는 형식이 대부분이라 버그나 에러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힘듭니다.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면 데이터의 정확한 정보를 알 수 있고, 서비스 단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됩니다. 협업 환경에서 에러 발생은 치명적인 문제를 야기시키기 때문에, 팀원간 신뢰성 확보에도 많은 도움을 줍니다.
후기
펼치기
Liked : 좋았던 점은 무엇인가?
- 수강 완료
- CS 전공지식이 3주차를 마지막으로 종료되었습니다. 기초적인 컴퓨터 지식을 빠르게 배울 수 있어 좋았습니다.
Lacked : 아쉬웠던 점, 부족한 점은 무엇인가?
- 피그마 사용
- 커리큘럼 마지막 프로젝트에서 피그마를 적절하게 사용해 페이지를 출력해보고 싶었는데 아직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피그마에 대해 더 알아가야 하겠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Learned : 배운 점은 무엇인가? (깨달은것, 인사이트, 기억하고 싶은 것 등)
- 테스트 주도 개발
- TDD 개념을 배우게 되었고 테스트 라이브러리를 사용해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고, 이점이 무엇인지 배우게 되었습니다.
Longed for : 앞으로 바라는 것은 무엇인가? (앞으로 어떤 행동을 할것인지)
- 완주
- 완주까지 1주일 남은 시점이기 때문에 마지막까지 과제를 빠짐없이 제출하고 공부를 마쳐 수료증을 받을 것입니다.